플라스틱 용기 바닥의 숫자, 그냥 있는 게 아닙니다
우리가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플라스틱 제품의 바닥을 보면, 삼각형 안에 숫자가 적혀 있는 마크를 종종 볼 수 있습니다. 이 마크는 단순한 디자인 요소가 아니라, 해당 제품이 어떤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졌는지, 어떻게 분리배출해야 하는지를 알려주는 중요한 정보입니다.
이 마크는 '재활용 식별표시'로 불리며, 숫자는 1번부터 7번까지 총 7가지로 나뉘어 있습니다. 각각의 숫자는 특정 플라스틱 소재를 나타내며, 재활용 가능 여부 및 방법이 전부 다릅니다.
예를 들어, 숫자 1번은 우리가 흔히 마시는 생수병의 재질이고, 5번은 플라스틱 도시락이나 김치통 같은 용기에 쓰이죠.
재활용 마크 숫자 의미를 제대로 이해하면, 플라스틱 분리수거 시 오해 없이 정확한 분류가 가능합니다. 단지 ‘플라스틱이니까’ 한데 모아 배출하는 방식은 이제 바뀌어야 할 때입니다.
이제부터 플라스틱 용기의 종류별 숫자가 어떤 의미를 갖고 있는지 하나씩 살펴보겠습니다.
플라스틱 1번부터 3번까지 – 재활용 잘 되는 것과 아닌 것
플라스틱 1번(PET)은 가장 널리 쓰이는 재질입니다. 생수병, 음료수병, 투명 포장용기에 많이 쓰이며, 재활용률이 높은 편입니다. 단, 라벨과 뚜껑은 다른 재질로 되어 있는 경우가 많아 반드시 분리해야 하며, 내용물을 비우고 헹구는 것도 필수입니다.
2번(HDPE)는 고밀도 폴리에틸렌으로, 세제통, 샴푸병, 우유통 등에 사용됩니다. 불투명한 플라스틱 용기 대부분이 이 재질이며, 강도는 높지만 비교적 재활용이 쉬운 플라스틱에 속합니다.
3번(PVC)는 폴리염화비닐로, 전선 피복, 창호재, 바닥재 등에 많이 사용됩니다. 하지만 이 재질은 유해물질 발생 가능성이 있어 재활용이 거의 불가능합니다. 환경호르몬 문제도 제기되는 만큼, PVC 제품은 일반 쓰레기로 처리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처럼 플라스틱 1번, 2번, 3번 재질 차이를 이해하면, 어떤 용기는 재활용함에 넣고, 어떤 것은 일반 쓰레기로 분리해야 하는지 판단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플라스틱 4번부터 6번 – 재질은 다양, 재활용은 어렵다
4번(LDPE)는 저밀도 폴리에틸렌입니다. 주로 비닐봉지, 랩, 짜먹는 소스 포장재 등 유연한 소재로 사용됩니다. 그러나 너무 얇거나 오염되기 쉬워 대부분은 재활용 효율이 낮아 소각 처리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5번(PP)는 폴리프로필렌으로, 김치통, 전자레인지 용기, 요구르트 병 뚜껑 등에 많이 쓰입니다. 열에 강하고 내구성이 높아 식품용기로 적합하지만, 형태가 다양한 만큼 재활용 설비에서 선별이 어려운 단점이 있습니다.
6번(PS)는 우리가 흔히 말하는 스티로폼입니다. 완충재, 포장 박스, 컵라면 용기 등에 사용되며, 가볍고 단열 효과는 좋지만 재활용이 어려워 대부분 소각되거나 매립됩니다. 특히 색이 입혀진 스티로폼은 거의 재활용되지 않습니다.
플라스틱 4번, 5번, 6번의 특징을 정확히 이해하면, 분리배출 시 어떤 재질은 철저한 세척 후 배출이 필요한지, 어떤 재질은 그냥 일반쓰레기로 처리해야 하는지를 구분할 수 있습니다.
플라스틱 7번은 무엇? 혼합재질의 마지막 번호
플라스틱 7번(OTHER)은 앞의 1~6번에 해당되지 않는 혼합재질 또는 특수소재 플라스틱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아기 젖병, CD 케이스, 일부 커피컵 뚜껑 등이 여기에 해당하며, 재질이 다양하고 혼합되어 있기 때문에 재활용이 거의 불가능한 경우가 많습니다.
이 번호는 단일 재질로 분류되지 않아 선별 과정에서도 제외되는 경우가 많고, 대부분 일반쓰레기로 처리됩니다. 때문에 플라스틱 7번 의미를 알고 있으면 불필요하게 재활용함에 넣는 실수를 줄일 수 있습니다.
간혹 7번 플라스틱 중에도 일부는 재활용이 가능한 소재가 있긴 하지만, 일반 가정에서는 구분이 어렵고 지역별 수거 기준도 달라 가급적 일반쓰레기로 배출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결론적으로 플라스틱 용기의 숫자는 단순한 표기가 아니라, 재질에 따라 분리배출 방법과 재활용 여부를 결정하는 기준이 됩니다. 습관처럼 보이는 분리배출도 이 숫자 하나만 제대로 이해하면 훨씬 더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재활용이 가능해집니다.
'친환경 & 분리수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음식물 쓰레기 줄이는 식재료 보관 꿀팁 (0) | 2025.04.08 |
---|---|
제로웨이스트 시작하기 – 일회용품 줄이는 간단한 방법 (0) | 2025.04.08 |
친환경 살림 초보도 가능한 일상 속 작은 실천 10가지 (0) | 2025.04.08 |
고양이 모래, 기저귀, 휴지는 어디로? 헷갈리는 쓰레기 총정리 (0) | 2025.04.08 |
분리배출 잘못해서 재활용센터가 울고 있습니다… (0) | 2025.04.08 |
분리수거 제대로 하면 포인트로 돈 벌 수 있다?! (0) | 2025.04.08 |
택배 포장지 분리수거 꿀팁 – 박스, 테이프, 에어캡까지! (0) | 2025.04.08 |
깨진 유리, 병, 도자기 버리는 방법 – 다르게 처리해야 해요 (0) | 2025.04.08 |